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Byung Rim Park |
Department of Physiolog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
Correspondence |
Byung Rim Park ,Tel: 063-850-6773, Fax: --063-852-6108, Email: byungp@wku.ac.kr
|
|
Received: November 14, 2017; Accepted: November 25, 2017. Published online: November 25, 2017. |
|
|
ABSTRACT |
자율신경계는 다양한 외적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내적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상성을 위하여 내장기관의 기능을 통합 조절한다. 자율신경계 조절의 원심성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내장기관뿐만 아니라 비내장기관으로부터 발생한 구심성 감각신호에 의하여 조절된다. 이러한 감각신호를 통합하고 내장운동 출력을 변화시키는 중추신경회로망은 복잡하며, 뇌간과 척수에서 형성된 시냅스반사는 중추뇌신경회로를 통하여 행동반응과 내장반응을 통합하여 조절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신경회로망을 상세하게 이해한다면 전정기관이 항상성에 미치는 역할을 보다 광범위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eywords:
sympathetic nerve; parasympathetic nerve; solitary tract nucleus; ventrolateral medulla; intermediolateral nucleus; vestibular nucleus |
|
|
|